자유를 위한 전쟁
유대, 셰켈 은화, 서기 67년
성서의 주화 - 유대, 셰켈 은화. 서기 67년
서기 1세기, 로마제국은 종교를 억압하는 정책을 키워왔습니다. 로마의 식민지들은 로마의 통치하에서 그들이 로마의 정책이나 계획에 방해되지 않는 한 그들의 종교의식을 행할 수는 있었으나, 극히 제한적이었습니다. 몇몇 로마 황제들은 너그러웠지만, 이 또한 그 황제들이 종교에 관해 무관심했을 뿐, 절대 종교의식에 대해 긍정적인 것은 아니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황제들은 로마의 관습에 물들길 원했습니다.
이 중 가장 종교적 편견이 심한 황제가 바로 네로(서기 54~68년)였습니다. 그는 기독교인, 유대인, 그리고 타 종파를 똑같이 무시하고 경멸했습니다.
당시에는 서기 6년부터 66년까지 로마의 총독이 유대교의 성지인 유대를 통치했습니다. 따라서 수십 년간 로마의 총독에 대한 반감이 서서히 자리 잡게 되었고, 반란에 대한 소문도 심심찮게 나오고 있었습니다. 당시 총독이던 게시우스 플로레스는 유대인들을 자주 핍박하고 모욕하였으며, 이로 인해 결국 서기 66년, 훗날 제1차 유대-로마 전쟁으로 불리는 전쟁의 서막이 열리게 되었습니다.
첫 유대인의 승리는 예루살렘의 안팎으로 즐비했던 로마의 주둔군을 궤멸시킨 것으로, 이 승리로 자유를 향한 열망을 꽃피웠으며, 이를 널리 알리기 위해 유대의 첫 반란 주화가 발행되었습니다.
한편. 로마는 유대 반란군이 타 지역으로 확산되기 이전에 찍어 누르기 위하여 빠르게 재정비하였습니다. 그들은 카이사레아에서 본보기를 보여주기 위하여 1시간이 채 가지 않은 시간 동안 약 2만 명의 유대인들을 학살하였고, 다마스커스에서는 1만 명의 유대인들을 살해하였습니다. 이것은 앞으로 4년 동안 치뤄질 갈등의 시작이었고, 이 갈등의 결과는 예루살렘의 신성한 성전의 파괴와 약 1백만 명의 유대인 사망으로 끝이 났습니다.
하지만 이 긴 전쟁을 치룰 동안, 유대인들은 희망을 끈을 놓지 않았으며, 탄압하는 세력에 대항하기 위한 희망의 메시지를 널리 알리기 위해 매년 주화를 발행하였습니다.
이 주화들 중 가장 가치가 있는 주화는 아무래도 로마에 대항하여 봉기한 그 첫해에 발행된 은 셰켈일 것입니다. 사실 은화 외에도 동화 역시 발행되었으나, 은화가 더 크고 아름다운 모습을 간직하고 있어 수집가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습니다. 또한 유대 셰켈은 모든 우화적, 역사적 주요한 고대 주화 가운데에서도 손꼽히며 고대 주화를 수집하는 수집가들에게 기준점이 됩니다.
이 주화의 앞면은 성배와 고대 히브리어로 "이스라엘의 셰켈"이라는 문구가 등장하며, 성배의 위에 히브리어로 날짜를 넣었는데, 이는 반란을 시작한 날짜의 1년 내지 5년 사이를 가리킵니다. 뒷면은 한 줄기에 세 갈래로 나뉘어진 석류를 그렸으며, "신성한 예루살렘"이라는 문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고대 성서의 글귀에는, "셰켈"이라는 단어가 실질적 화폐단위나 주화를 나타내는 것이 아닌, 특정 무게를 뜻합니다. "셰켈"을 단위로 처음 쓴 것이 최초 반란의 주화가 발행된 후이며, 그 후부터 유대인들은 주권의 표시로 그들의 은화를 발행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부터는 같은 도안으로 크고 두꺼운 셰켈이나 반절 정도의 무게를 가진 셰켈도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이스라엘의 셰켈과 1/2셰켈은 굉장히 유명하며, 화폐 시장에서 높은 수요를 가지고 있습니다. 미품에서 극미품 상태의 주화는 일반적으로 1,500에서 2,500달러로 거래가 되며, 상태가 안좋은 주화들은 그보다 약간 가치가 덜합니다.
출처 : 풍산화동양행
네로(Nero) - 로마 제국의 제5대 황제
네로(Nero)는 로마 제국의 제5대 황제(37년 12월 15일 ~ 68년 6월 9일, 재위 54년 10월 13일 ~ 68년 6월 9일)이자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의 마지막 황제이다. 본래 이름은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아헤노바르부스(Lucius Domitius Ahenobarbus)이며, 황제가 되어 네로 클라우디우스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게르마니쿠스(Nero Claudius Caesar Augustus Germanicus)로 칭하였다. 클라우디우스의 외종손이자 양자이며 칼리굴라의 외조카가 된다.
'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끼의 해 기념주화 - 호주 퍼스조폐국 (2023년) (0) | 2023.02.21 |
---|---|
성서의 주화 - 유대, 바르 코크바 셰켈 은화 (0) | 2023.02.15 |
성서의 주화 - 시리아 드라크마 은화 (1) | 2023.02.14 |
성서의 주화 - 디셰켈 은화 (비블로스. 아드라멜레크 왕) (0) | 2023.02.13 |
성서의 주화 - 렙돈 동화 (아리스토블로, 렙돈 동화) (1) | 2023.0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