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국경제연구원2 주식거래에 부과되는 농특세, 주식투자 대중화된 현실에 맞지 않아 주식거래에 부과되는 농특세, 주식투자 대중화된 현실에 맞지 않아 [한국경제연구원,‘주식투자 관련 농어촌특별세의 현황과 개선방안 검토’보고서] - 농특세 총세수 중 증권거래에서 발생한 금액, 전체의 41.9%(2019년)로 최대 - 농특세 사업계정 총세출 중 60.2%(2021년)는 타기금으 전출, 과도하게 징수 - 주식거래를 ?사치성?으로 본 농특세는 시대착오적, 원인자 부담원칙에도 어긋나 - 주식투자 활성화를 지속하기 위해 관련 농특세의 인하 또는 폐지 필요 주식거래에 부과되는 농어촌특별세(이하 ‘농특세’)가 매년 조 단위에 달하는데, 동 세금의 상당부분이 타기금으로 전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투자가 대중화된 오늘날 주식거래에 대한 농특세 부과는 시대착오적이고 원인자 부담원칙에도 어긋나기 때문에 세.. 2023. 2. 9. 물가·세금·실업급여·국민연금·집값... 성실근로자 울리는 5대 요인 물가·세금·실업급여·국민연금·집값... 성실근로자 울리는 5대 요인 - ①월급보다오르는생활물가(근로자임금3.4%↑vs.밥상물가3.9%↑) - ②소득보다오르는 세금(근로자소득총액 5.3%↑vs.근로소득세10.1%↑) - ③실직후 받을 수 있나?(실업급여 재정적자 확대. 얌체근로자도 한 몫) - ④은퇴후받을 수 있나?(32세이하는 국민연금한푼도 못받을 우려) - ⑤월급모아 집을 산다? (집값은 7.4%↑, 서울집값은 12.9%↑) 최근 경제상황이 악화되는 가운데 성실하게 근무하는 근로자들이 희망을 가지고 살아가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성실근로자 울리는 5대 요인으로 ①월급보다 오르는 생활물가, ②소득보다 오르는 세금, ③실업급여 재정적자 확.. 2023. 2. 5. 이전 1 다음 728x90